CS 3

[알고리즘] DFS&BFS - (3)

🔒 문제1 : 음료수 얼려 먹기 N x M 크기의 얼음 틀이 있다. 구멍이 뚫려 있는 부분은 0, 칸막이가 존재하는 부분은 1로 표시된다. 구멍이 뚫려 있는 부분끼리 상, 하, 좌, 우로 붙어 있는 경우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때 얼음 틀의 모양이 주어졌을 때 생성되는 총 아이스크림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다음의 4 x 5 얼음 틀 예시에서는 아이스크림이 총 3개 생성된다. ⌨ 입력 - 첫 번째 줄에 얼음 틀의 세로 길이 N과 가로 길이 M이 주어진다. (1 = M): continue else: if(graph[nx][ny] == 0 and visited[nx][ny] == 0): queue.append((nx, ny)) visited[nx][ny] = 1 # 답 저장할 ..

CS/알고리즘 2024.01.17

[알고리즘] DFS&BFS - (2) BFS

BFS (Breadth First Dearch) : BFS는 너비 우선 탐색이라 부르며, 그래프에서 가까운 노드부터 탐색하는 알고리즘이다. 이전 게시글에서 DFS는 최대한 멀리있는 노드를 우선으로 탐색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고 했다. BFS의 경우는 반대이다. 가장 가까운 노드를 우선으로 탐색한다. BFS의 구현에서는 선입선출(FIFO) 방식의 queue 자료형을 사용하는 것이 정석이다. 인접한 노드를 반복적으로 큐에 넣도록 알고리즘을 작성하면 자연스럽게 먼저 들어온 것이 먼저 나가게 되어, 가까운 노드부터 탐색을 진행하게 된다. 1. 알고리즘의 정확한 동작 방식 1️⃣ 탐색 시작 노드를 큐에 삽입하고 방문 처리를 한다. 2️⃣ 큐에서 노드를 꺼내 해당 노드의 인접 노드 중에서 방문하지 않은 노드를 모두 ..

CS/알고리즘 2024.01.17

[알고리즘] Implementation (구현) - (1)

Implementation (구현) 1. 피지컬로 승부하기 코딩 테스트에서 구현이란 머리속에 있는 알고리즘을 소스코드로 바꾸는 과정 을 뜻한다. 어떤 문제를 풀든 소스코드를 작성하는 과정이 필수이며, 구현 문제 유형은 모든 코딩 테스트 문제 유형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 1) Problem - Thinking - Solution 흔히 구현 유형의 문제는 풀이를 떠올리는 것은 쉽지만 소스코드로 옮기기 어려운 문제 를 뜻한다. 생각해 낸 문제 풀이를 우리가 원하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정확히 구현해 내야하고, 이를 위해서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하고 문제의 요구사항에 어긋나지 않는 답안 코드를 실수없이 작성 해야 한다.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 알고리즘은 간단한데 코드가 지나칠 만큼 ..

CS/알고리즘 2024.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