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 58

[BOJ] 2193번 : 이친수

🔒 문제 ⌨ 입력 🖨 출력 📚 예제 📌 풀이 문제를 딱 보면 끝이 0인 애들은 뒤에 0이나 1이 올 수 있고, 끝이 1인 애들은 0밖에 못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생각한게 0으로 끝나는 수와 1로 끝나는 수들의 개수를 따로 저장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1차원 배열이 아닌 2차원 배열로 dp를 만들어서 끝이 0인 수의 개수는 0열에, 끝이 1인 수의 개수는 1열에 저장하기로 한다. n 0으로 끝나는 수 1로 끝나는 수 1 - 1 2 10 - 3 100 101 4 1010, 1000 1001 5 10100, 100000, 10010 10101, 100001 위의 표를 개수로 나타내 보겠다 n 0으로 끝나는 수들의 개수 1로 끝나는 수들의 개수 1 0 1 2 1 0 3 1 1 4 2 1 5 3 2 .....

[BOJ] 11727번 : 2xN 타일링 2

🔒 문제 ⌨ 입력 🖨 출력 📚 예제 📌 풀이 위의 그림을 보면 n이 1이고, 2인 경우를 제외하면 n이 3부터는 규칙이 생기는 것을 알 수 있다. 2 x n을 만들기 위해서는 2가지 방법이 있다. 2 x (n - 1) 인 경우에 1 x 2 타일 1개 붙이기 2 x (n - 2) 인 경우에 2 x 2 타일이나 2 x 1 타일 2개 붙이기 그래서 식으로 적으면 dp[n] = dp[n - 1] + dp[n - 2] * 2가 된다. 위의 그림을 보면 이해가 더 쉬울 것이다. 분홍색 형광펜으로 네모 표시를 한 부분들이 바로 이전 타일들에 추가된 부분들이다. 아래는 dp 식을 정리한 것이다. dp를 위한 배열을 만들 때, n이 아닌, n + 1 배열로 만드는 것이 편하다. 🔑 python 코드 # 2xN 타일링 2..

[BOJ] 1789번 : 수들의 합

🔒 문제 ⌨ 입력 🖨 출력 📚 예제 📌 풀이 문제에서 주어진 숫자 S를 서로 다른 자연수들을 N개 더해서 만드는데 N의 개수의 최댓값을 구하는 것이다. 쉽게 생각하면 작은 수인 1부터 2, 3,,, 차례로 더해가면 N이 최대가 된다 는 것을 생각하면 된다. 그래서 생각해낸 풀이 방법이 등차가 1인 등차 수열을 생각해서 등차수열의 합 공식을 사용하는 것이었다. temp = 1 + 2 + 3 +,,, + n까지 더한 값은 temp = n * (n + 1) / 2 로 구할 수 있다. 이 temp 값이 S값 커졌을 때의 n 값에서 1을 뺀 것이 바로 답이다. 1을 빼주는 이유는 200을 예를 들어서 설명하겠다 200에 가장 가까운 200보다 큰 temp 값은 n이 20인 210이다. temp가 210일 때 n값..

[BOJ] 16953번 : A -> B

🔒 문제 ⌨ 입력 🖨 출력 📚 예제 예외 ex1) 1 131 -1 ex2) 1 1111 5 📌 풀이 문제를 찬찬히 보면 A -> B를 만든다기보다는 B -> A를 만드는 것이 쉽다. 그래서 규칙을 찾아보면, [규칙] B의 일의 자리 수가 1이면, B에 B를 10으로 나눈 몫을 저장한다. B를 2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0이면, B에 B를 2로 나눈 몫을 저장한다. 3. B를 2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0이 아니면, ans에 -1을 저장하고 ans를 출력한다. while문을 탈출하는 방법은 3개이다. 3번 조건을 생각안해서 틀렸었다 [while문 탈출] A와 B가 같아졌을 때 B가 A보다 작아졌을 때 A로 B를 만들 수 없을 때 2번, 3번은 답이 -1이다. 🔑 python 코드 # A -> B impor..

[알고리즘] DFS&BFS - (3)

🔒 문제1 : 음료수 얼려 먹기 N x M 크기의 얼음 틀이 있다. 구멍이 뚫려 있는 부분은 0, 칸막이가 존재하는 부분은 1로 표시된다. 구멍이 뚫려 있는 부분끼리 상, 하, 좌, 우로 붙어 있는 경우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때 얼음 틀의 모양이 주어졌을 때 생성되는 총 아이스크림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다음의 4 x 5 얼음 틀 예시에서는 아이스크림이 총 3개 생성된다. ⌨ 입력 - 첫 번째 줄에 얼음 틀의 세로 길이 N과 가로 길이 M이 주어진다. (1 = M): continue else: if(graph[nx][ny] == 0 and visited[nx][ny] == 0): queue.append((nx, ny)) visited[nx][ny] = 1 # 답 저장할 ..

CS/알고리즘 2024.01.17

[알고리즘] DFS&BFS - (2) BFS

BFS (Breadth First Dearch) : BFS는 너비 우선 탐색이라 부르며, 그래프에서 가까운 노드부터 탐색하는 알고리즘이다. 이전 게시글에서 DFS는 최대한 멀리있는 노드를 우선으로 탐색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고 했다. BFS의 경우는 반대이다. 가장 가까운 노드를 우선으로 탐색한다. BFS의 구현에서는 선입선출(FIFO) 방식의 queue 자료형을 사용하는 것이 정석이다. 인접한 노드를 반복적으로 큐에 넣도록 알고리즘을 작성하면 자연스럽게 먼저 들어온 것이 먼저 나가게 되어, 가까운 노드부터 탐색을 진행하게 된다. 1. 알고리즘의 정확한 동작 방식 1️⃣ 탐색 시작 노드를 큐에 삽입하고 방문 처리를 한다. 2️⃣ 큐에서 노드를 꺼내 해당 노드의 인접 노드 중에서 방문하지 않은 노드를 모두 ..

CS/알고리즘 2024.01.17

[알고리즘] DFS&BFS - (1) DFS

DFS (Depth-First Search) : DFS는 깊이 우선 탐색이라 부르며, 그래프에서 깊은 부분을 우선적으로 탐색하는 알고리즘이다. 1. 그래프(Graph) 기본 구조 그래프는 노드(node)와 간선(edge)로 표현되며, 이때 노드를 정점(vertex)라 한다. 그래프 탐색이란, 하나의 노드를 시작으로 다수의 노드를 방문하는 것을 말한다. 두 노드가 간선으로 연결되어 있다면 '두 노드는 인접하다(Adjacent)' 라고 한다. 1) 그래프 표현 방식 (1) 인접 행렬 (Adjacency Matrix) 2차원 배열로 그래프의 연결 관계를 표현하는 방식 연결되지 않은 노드 끼리는 무한(infinity)의 비용이라 작성 - 예제 코드 : Adjacency_Matrix.py INF =..

CS/알고리즘 2024.01.17

[자료구조] 재귀 함수( Recursive Function)

Recursive Fuction (재귀 함수) 재귀 함수란 자기 자신을 다시 호출하는 함수를 의미한다. - 예제 : 재귀 함수 def recursive_fuction(): print("재귀 함수를 호출합니다.") recursive_fuction() recursive_fuction() 위 함수를 실행하면 '재귀 함수를 호출합니다.'라는 문자열이 무한히 출력된다. 여기서 정의한 recursive_function()이 자기 자신을 계속해서 추가로 불러오기 때문이다. 물론 어느 정도 출력하다가 다음과 같은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고 멈출 것이다. RecursionError: maximum recursion depth exceed while pickling an object 이 오류 메시지는 재귀(Re..

CS 2024.01.12

[알고리즘] Implementation (구현) - (2)

🔒 문제1 : 왕실의 나이트 행복 왕국의 왕실 정원은 체스판과 같은 8x8 좌표 평면이다. 왕실 정원의 특정한 한 칸에 나이트가 서 있다. 나이트는 매우 충성스러운 신하로서 매일 무술을 연마한다. 나이트는 말을 타고 있기 때문에 이동을 할 때는 1자 형태로만 이동할 수 있으며, 정원 밖으로는 나갈 수 없다. 나이트는 특정한 위치에서 다음과 같은 2가지 경우로 이동할 수 있다. 수평으로 두 칸 이동한 뒤에 수직으로 한 칸 이동하기 수직으로 두 칸 이동한 뒤에 수평으로 한 칸 이동하기 이처럼 8x8 좌표 평면상에서 나이트의 위치가 주어졌을 때 나이트가 이동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이때 왕실의 정원에서 행 위치를 표현할 때는 1부터 8로 표현하며, 열 위치를 표현할 때는 a부터..

CS/알고리즘 2024.01.08